top of page
배너수정v5.png
About

About us

(주)메디리타는 AI를 기반으로 신약개발 기술을 개발하는 인공지능 전문기업입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Multi-omics Network Artificial Intelligence (MuN-AI)

multiomicsnetwork2.png

​오믹스(Omics)란 생물학에서 유전체학, 단백질체학과 같이 생물정보학 기법을 활용하여 통합적인 생물정보와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는 학문분야 입니다.

(주)메디리타는 오믹스 데이터와 함께 인체에 실제 반응으로 표현되는 증상, 질환과 사용되는 약물 등에 대한 데이터를 총 망라한 멀티오믹스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 질환에 효용이 있는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하여 적중률 높은 신약개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인공지능 기반의 신약개발

인공지능 기반의 신약개발은 시작 단계 입니다. 대형 다국적 제약사들이 다양한 인공지능 스타트업 기업들과 활발하게 협업을 하고 있습니다.

메디리타는 신약개발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글로벌 기업을 향한 성장을 가속화 하고 있습니다.

moniter.png

CI 소개

logo_small_edited.png

Medicine의 약자로 약을 의미

+

logo_small_edited.png

​산스크리트어로 모든 법칙을 초월·포함하고 지배·통제하는 근본적인 원리 또는 초월적인 실재를 의미

Solution

Solution

MuN-AI

네트워크 의학에 기반한 네트워크 분석 지표를 독자 개발하여 이 지표로 약물반응 경로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가능합니다.

​글로벌 공공오믹스 데이터베이스에서 지식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으로 신약의 약효와 안전성을 예측합니다.

solution2.png
Patent

Patent

​등록 특허
  • 신약 후보 물질의 효과 및 안전성 예측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신약 후보 물질 도출 방법 및 장치

  • 신약 후보 물질 발굴을 위한 데이터 처리 방법

  • 신약 후보 물질 발굴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신약 후보 물질 발굴을 위한 멀티오믹스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멀티오믹스 네트워크 기반 신약 후보 물질 탐색 방법

특허 등록증.png
특허 등록증5.png
특허 등록증2.PNG
특허 등록증4.PNG
특허 등록증3.PNG

Certificate (ISO)

  • ISO/IEC 25023 소프트웨어품질인증 (20-2008)

  • ISO/IEC 25023 소프트웨어품질인증 (20-2009)

  • ISO/IEC 25023 소프트웨어품질인증 (20-2010)

  • ISO/IEC 25023 소프트웨어품질인증 (20-2011)

  • ISO/IEC 25023 소프트웨어품질인증 (20-2012)

  • ISO/IEC 25023 소프트웨어품질인증 (22-2003)

약물구조예측모델_KTL마크 인증서_1.png
인증서1.PNG
인증서2.PNG
인증서4.PNG
인증서3.PNG

Award​

  • 2022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 2020 대한민국 공감경영대상 식약처장상

  • 2019 대한민국 인공지능 대상 (IT 조선)

1.2022 국민공감 캠페인-중소벤처기업부장관상.png
2022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상
과기부장관상.png
20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상패.jpg
식약처장상.PNG
2020 대한민국 공감경영대상 식약처장상
상패.jpg
대상 이미지.jpg
2019 대한민국 인공지능 대상
Award
Article

Article

“GS인증 획득 ‘멀티오믹스 인공지능’으로 신약 개발에 필요한 시간·비용 확 줄인다”

2023-05-10

전 세계 제약·바이오업계가 신약 개발에 인공지능(AI)을 본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활발히 움직이고 있는 가운데, 신약 개발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신약 개발 AI 솔루션’ 분야를 선도하는 기업이 있다. 자체 개발한 독자적인 AI로 신약을 개발 중인 메디리타가 주인공이다. 2018년 6월 설립된 메디리타는 AI를 활용하여...

메디리타, 멀티오믹스네트워크 MuN-AI가 주목받는 이유는?
 

2022-10-19

메디리타는 19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 주관으로 진행된 '제1회 AI 신약개발 오픈 이노베이션 행사'에 참여해 멀티오믹스네트워크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설명했다. 이날 행사는 메디리타를 포함한 AI 신약개발기업인 신테카바이오, 바이온사이트 총 세 곳이 참여해 약물개발 분야 플랫폼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인공지능 신약개발 업체 한자리에

 

2022-10-19

제약바이오기업과 인공지능 스타트업의 공동 연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업체별 기술 현황을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는 오늘 오전 제1회 신약개발 AI플랫폼 기술 설명회를 개최하고 온라인으로 생중계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약개발은 후보물질 도출을 포함한...

인공지능 기반 솔루션으로 신약개발 돕는다
동아일보
2022-08-30
"MuN-AI로 희귀질환 치료제 발굴 장기적 목표"
머니투데이
2022-04-22
[THE CREATIVE 2022] AI 활용, 신약개발 패러다임 전환
중앙일보
2022-03-17
AI가 신약까지 척척… 희귀질환 정복 도전
동아일보
2021-08-19
메디리타, AI EXPO 참가…“효율적인 신약개발 돕는 인공지능 솔루션”
머니투데이
2021-03-31
팬데믹으로 가속화되는 인공지능의 활용
메디포뉴스
2020-11-23
메디리타, 동방에프티엘-가피바이오와 인공지능 신약개발 공동연구협약 체결
인공지능신문
2020-09-10
신약개발용 인공지능 첫 상용화
동아일보
2020-08-25
AI로 빨라진 `신약개발`… 시간·비용 줄이고 성공확률 높였다
디지털타임스
2020-07-27
메디리타-쓰리빅스, AI 신약개발 공동연구 업무협약
이투데이
2020-04-28
인공지능 신약개발의 전망
메디포뉴스
2019-12-11
[2019 AI대상] AI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신약 개발 지원
IT Chosun
2019-11-05
[2019 AI대상] 수상자들의 말말말 "데이터와 인력 부족 해소가 급선무"
IT Chosun
2019-11-05
[2019 AI대상] 영예의 첫 수상
IT Chosun
2019-11-05
[AI 365] "신약 개발 어려움, AI로 해결합니다"
IT Chosun
2019-08-27
글로벌 시장 신약개발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헬스코리아뉴스
2019-07-18
제약산업 속 AI, “신약개발 비용 절감 큰 역할”
약업신문
2019-07-17
MediRita: Korean startup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area of Drug Discovery
Korea Tech Desk
2019-07-05
[4차 산업혁명 주요기술] AI 통해 신약 부작용 예측한다
공학저널
2019-03-13
​​[CEO 칼럼] 맥락의 이해와 인공지능에 대한 기대
아주경제
2019-01-20
[신년특집] 2019년도 인공지능 신약개발 전망
의학신문
2019-01-01
배영우 메디리타 대표 "日 AI 신약개발 시장 개척할 것"
머니투데이
2018-12-19
[CEO칼럼]​정밀의학과 블록체인
아주경제
2018-12-19
[바이오패권’을 잡아라③-인공지능(AI)]“모래사장서 바늘 찾기 같은 신약 개발…인공지능이 해결할 것”
헤럴드경제
2018-12-18
신약개발, 인공지능 활용은 필수
헬스코리아뉴스
2018-12-17
신약개발의 패러다임 변화
메디포뉴스
2018-12-06
전환점 맞은 신약개발… AI 활용이 성공 좌우
뉴데일리
2018-11-28
[2019 컨슈머포럼] 인간ㆍ지구ㆍAI와의 공존…인문학 토크콘서트로 내년을 엿보다
헤럴드경제
2018-11-21
[헬스케어이노베이션] 배영우 전문위원 “AI가 희귀 질환 신약 개발 촉진할 것”
아주경제
2018-11-15
[CEO칼럼] 혁신과 생각의 개방
아주경제
2018-11-09
제약바이오협회, 'AI 파마코리아 콘퍼런스' 개최
데일리팜
2018-10-11
[2018 바이오인천포럼⑥] 빅데이터·인공지능 의학 패러다임 바꿀 것
한국경제TV
2018-09-13
[CEO칼럼] 생명의 진화와 사회시스템
아주경제
2018-09-05
[CEO칼럼] 4차산업혁명과 헬스케어
아시아경제
2018-09-03
[CEO칼럼]​개방공유 경제에서의 카피레프트
아주경제
2018-07-26
[CEO칼럼] ​블록체인 시대 개방의 의미
아주경제
2018-06-17
[블록체인, 미래산업 지도를 바꾼다] "블록체인, AI·헬스케어 혁신 위한 핵심 기술로 부상할 것"
데일리한국
2018-05-17
[CEO칼럼]인공지능이 산업 발전의 주역으로
아주경제
2018-05-04
Team

Team

ywpae.png

YoungWoo Pae, Ph.D.

Co-Founder, Chief Executive Officer

Former IBM Executive for Watson

Expert Council, KPBMA (Korea Pharmaceutical and Bio-Pharma Manufacturers Association)

shjin.png

Seung-Hyun Jin, Ph.D.

Co-Founder, Chief Technology Officer

Ph.D. in Physics, KAIST

Former Assistant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권진선.png

Jinsun Kwon, Ph.D.

Business Development Director;

Chief Marketing Officer

Ph.D. in Medicinal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Former Senior Research Scientist,

ILDONG Pharmaceutical Company

Advisor

profile.png

Young Gyu Cho, Ph.D.

Executive Vice President /  CTO

GI Innovation
Ph.D. in Life Science, POSTECH

Former Director of Research,

HANDOK Pharmaceutical Company

Partners

제일약품.png
삼양 logo.jpg
logo.png
가피바이오 logo.jpg
에임스.png
3BIGS-Logo-V3.png
KPMBA logo.png
koraia logo
kbio logo.png
프로엔.png
비움텍.jpeg
고대.png
Notice

PR

  • MuN-AI를 활용한 기존 우울증 치료 약물인 Bupropion 약물 재창출 연구 

  • 제 1회 신약개발 AI 플랫폼 기술 설명​회 - 메디리타

PR
Map

Directions

Contact Us
Contact us

감사합니다. 메시지가 발송되었습니다.

Tel: 02-6953-0733

Fax: 02-6953-0732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37, 201호

(상암동, DMC 산학협력연구센터)

bottom of page